3377TV 3377TV

‘영화적인 것’에 대한 강박과 오해 - 영화 <채식주의자>와 <흉터>의 경우

원천:3377TV   출시 시간:2024-10-31
<채식주의자>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직후 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채식주의자>(2010)와 <흉터>(2011)가 재개봉했다. 누군가는 작가의 팬으로서, 누군가는 작가를 알려고 영화를 볼 것이다. 문제는 두 영화가 성공적이지 못한 영화화 사례로 이야기되는 작품이라는 사실이다. 한강 작가는 2014년 웹진 <채널24>와 한 인터뷰에서 “사건 중심보다 인물의 내면을 따라가”는 영화화를 바란다고 말했지만 두 영화가 그 바람을 제대로 실현했다고 말하긴 어려워 보인다.

우선 도드라지는 문제는 두 영화 모두 연출상 원작의 에피소드를 피상적으로 재현했다는 점이다. 영화 <채식주의자>의 경우 영혜(채민서)가 누구인지, 어떤 아내로 살았는지 등 설명 없이 영혜가 냉장고 앞에서 멍하니 있는 장면부터 그린다. 사건을 지탱하는 감정적 인과는 옮기지 않은 채 시각화에 몰두하니 감정이입이 쉽지 않다. 영화가 소설의 서사를 모두 담아낼 필요는 없지만 핵심적인 뼈대를 생략하는 건 다른 차원의 이야기다.

<채식주의자>

다소 과격하게 표현하자면 영화 <채식주의자>는 원작의 문학적 장치와 주제에 대한 몰이해의 결과물이다. 소설 <채식주의자>의 핵심적 장치는 다름 아닌 ‘시점’이다. 소설집 <채식주의자>에는 영혜를 소유물로 보는 남편 ‘나’(<채식주의자>), 몽고반점이 있는 처제 영혜에 대한 예술적인 영감과 성적 매혹을 느끼는 형부(<몽고반점>), 영혜를 연민하는 언니(<나무 불꽃>) 등 세 인물의 시선이 교차한다. 각각 혐오와 대상화, 연민이라는 타자화를 그려내며 입체적인 이해를 돕는다. 반면 영화 속 카메라는 원작의 장치를 외면한 채 영혜에게 가해진 폭력을 관찰할 뿐이다. 영화 <흉터>도 마찬가지다. 원작 <아기 부처>의 화자가 남편에게 유자차를 탈 동안 자신을 “병원체를 품은 숙주”처럼 보는 자기혐오를 외면한다. “표정이 없는 것이 아니라 ‘없는’ 표정”(송경원, <씨네21> <흉터> 리뷰 중)이라는 평가를 뒤틀면 카메라가 없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마땅한 역할이) 없는 카메라다.

영화 <채식주의자>는 원작 속 익명으로 등장한 남편과 형부, 언니에게 이름을 더하는 과오도 저지른다. 소설 <채식주의자>는 육식주의와 남성성 이데올로기에 반성 없이 따르는 인간을 익명적 존재로 보고, 그들의 시선 밖으로 벗어난 영혜의 주체성을 그려낸다. 반면 영화는 형부 민호(현성)과 영혜가 격정적인 정사를 할 때 절정에 이른 영혜의 얼굴을 클로즈업하는 등 포르노의 클리셰를 답습한다. 소설처럼 민호의 카메라에 둘의 육체를 담되 그 카메라 밖에선 포르노를 찍는 상황은 원작의 의도를 정확히 배반한다. 결론적으로 영화 이미지에 대한 강박은 역설적으로 영화의 실패로 이어졌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두 영화는 인물의 은폐된 내면을 몸짓과 이미지로만 그리려고 한다. 영화 <채식주의자>에서 감독은 원작에서 기울임체로 서술된 영혜의 악몽과 내레이션을 그리려는 최소한의 시도라도 해야 했지만 하지 않는다. 타인의 상처를 온전히 볼 수 없다는 원작의 태도가 타인에 대한 감응을 포기하고 관찰만 하라는 태도는 아니다. 시각화에 앞서 원전의 충실한 이해가 필요함을 방증하는 사례다.

THE END
768
로컬 재생 기록 클라우드 재생 기록
로그인 계정
발표
3377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3377에는 충전 항목이 없습니다. 3377 회원으로 등록하시면 더 많은 영화 감상 권한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